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SaaS, IaaS, PaaS

클라우드

by yeongs 2021. 2. 2. 16:59

본문

‘필요한 만큼만 쓰자’, 빌려 쓰는 클라우드

미래학자 니콜라스 카(Nicholas Carr)의 정의에 따르면 클라우드 컴퓨팅 IT 자원을 구매하거나 소유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 사용료를 주고 쓰는 서비스를 말한다. 중앙 집중화된 대형 데이터센터에서 서비스를 받고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을 인터넷을 통해 자유롭게 빌려 쓰는 방식을 가리킨다.

 

최초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1995년 미국 제너럴 매직(General Magic)에서 AT&T 등 다른 여러 통신사와 제휴를 맺으면서 시작했다. 그러나 제대로 자리잡기까지는 10여년이 걸렸다. 2005년이 되어서야 특정 소프트웨어를 필요한 시기에 인터넷으로 접속해 쓰고, 사용한 만큼 요금을 내는 제도가 정착됐다.

클라우드 서비스어떤 자원을 제공하느냐에 따라 이처럼 크게 3가지로 나뉜다.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를 웹에서 쓸 수 있는 서비스
( 최초 클라우드 서비스 / ‘지메일(Gmail) ’이나 ‘드롭박스(Dropbox) ’, ‘네이버 클라우드’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인프라스트럭처)
서버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의 IT 인프라 장비를 빌려주는 서비스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로서의 플랫폼)
플랫폼을 빌려주는 서비스 


SaaS :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웹에서 뚝딱

SaaS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말한다.

모든 서비스가 클라우드에서 이뤄진다.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서 PC에 설치하지 않아도 웹에서 소프트웨어를 빌려 쓸 수 있다.


IaaS : 필요한 만큼, 원하는 만큼 컴퓨팅 인프라를 쓰자

IaaS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스토리지 등 데이터센터 자원을 빌려 쓸 수 있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이용자는 직접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요한 인프라를 꺼내 쓰면 된다. 이렇게 빌려온 인프라에서 사용자는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 등을 설치한 다음 원하는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넷플릭스 사례가 대표적이다. 넷플릭스는 자체 데이터센터를 구축한 다음 서비스를 운영하는 대신 아마존웹서비스(AWS)의 IaaS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을 택했다

IaaS는 가상 서버, 데이터 스토리지 같은 기존 데이터센터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PaaS : 기호에 맞춰 SW 개발 돕는, 개발자를 위한 서비스

PaaS는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개발할 때 필요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사용자는 PaaS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 된다. PaaS 운영 업체는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필요한 API를 제공해 개발자가 좀 더 편하게 앱을 개발할 수 있게 돕는다. 일종의 레고 블록 같은 서비스다.

앞서 설명한 SaaS가 이미 만들어진 레고 모형, IaaS가 레고 공장이라면, PaaS는 레고 블록이라 할 수 있다.

PaaS 서비스 업체는 레고 블록을 개발자에게 제공하고, 개발자는 각 레고 블록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레고 모형을 만든다. 레고 블록이 소프트웨어(SW) 개발도구라면, 레고 모형이 완성된 소프트웨어(SW)나 서비스가 된다. PaaS를 이용하면 개발자는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 직접 레고 블록을 설계하거나 만들 필요가 없다. 자신에게 필요한 블록 조각만 고르고, 그 비용을 치르면 된다.

개발자가 개발을 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환경을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내기 때문에 개발자로선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다. 단, 플랫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때문에 특정 플랫폼에 종속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A 서비스 업체의 PaaS에서 앱을 개발하고 이 작업을 이어서 B 회사의 Paas에서 하기가 쉽지 않다는 뜻이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작업하려면 이에 맞게 앱을 수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표 PaaS 서비스 기업으로는 세일즈포스닷컴(salesforce.com), 구글 앱 엔진(Google App Engine) 등이 있다.

 


오늘은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에 알아보았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내용이 있지만 공부하면서 필요한 내용을 축약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SaaS, IaaS, PaaS - 클라우드 서비스에도 유형이 있다 (용어로 보는 IT, 이지영)

댓글 영역